분류 전체보기113 [Android] 안드로이드 Room으로 로컬 데이터베이스 이용하기 1. Room 이란? 안드로이드에서 데이터를 로컬에 저장하는 방법에는 File, SharedPreference, SQLite 등이 있다. 각각의 특징을 간략하게 알아보자면 File - 텍스트 파일 등의 파일을 생성하여 파일 입출력으로 관리한다. SharedPreference - Key, Value 쌍으로 데이터를 관리한다. SQLite - MySQL, PostgreSQL과 같은 DB 시스템이지만 응용 프로그램에서 사용하는 가벼운 DB이다. Room은 위의 SQLite와 관련이 있다..! Room은 SQLite에 대한 추상화 레이어를 제공한다고 공식 문서에 나와있다. 예를 들어, SQLite에서는 모든 Query를 직접 작성했어야 했는데 Room에서는 CRUD와 관련된 기본 추상화 메서드를 제공하여 사용할.. 2020. 10. 25. [Android] ViewPager2 ViewPager2는 ViewPager의 개선된 버전이다. * 변경 사항 1. 세로 페이징 지원 (android:orientation 속성 이용) 2. 오른쪽에서 왼쪽 페이징 지원 (android:layoutDirection 속성 이용) 3. 런타임에 프래그먼트 컬랙션을 수정 가능 4. DiffUtil 클래스에 엑세스 가능 (RecyclerView 데이터세트 변경 애니메이션 활용 가능) * 구현 해야할 것 1. ViewPager에 들어갈 Fragment - Fragment 클래스와 XML 2. ViewPager를 포함할 Activity - Layout XML에는 ViewPager2를 추가, Activity에서는 Adapter 구현 3. (선택) Page 전환 애니메이션 하나씩 코드로 살펴보자 1. Vie.. 2020. 10. 11. [Git] Default Branch가 main? 1. 왜 변경되었나? 얼마전에 사이드프로젝트를 새로 시작하려고 새로운 repository를 생성했는데 뚜둔,,, Default Branch가 main이다. 그래서 내가 뭔가 잘못 설정했나..? 싶었다. * 원래는 master가 기본이었다. Git은 10월부터 새로 만들어지는 repository는 Default Branch를 master에서 main으로 변경하기로 하였다! 이전까지 생성된 repository는 master가 그대로 유지된다 바뀐 사유를 읽어보니,,master라는 명칭에 대한 논란이 있었던거 같다. 물론 Git에서 master가 뜻하는 의미는 첫 번째 Branch라는 것 이외에는 없지만 충분히 오해나 불편해하는 사람들이 있을 수 있다,, 무튼 지금은 master에서 main으로 바뀌었고 이외.. 2020. 10. 10. [프로그래머스] 완전탐색 : 카펫 Kotlin 노란색의 가로 * 2 + 노란색의 세로 * 2 + 4가 갈색의 수와 같다는 것을 이용하면 된다. 이제 노란색의 가로, 세로만 정해주면 되는데 가능한 약수들을 찾고 약수로 위의 식에 대입해서 계산해보면 된다. 약수를 찾는데서 완전탐색인것 같다. class Solution { fun solution(brown: Int, yellow: Int): IntArray { return (1..yellow) .filter { yellow % it == 0 } .first { brown == (yellow / it * 2) + (it * 2) + 4 } .let { intArrayOf(yellow / it + 2, it + 2) } } } 2020. 10. 2. 이전 1 ··· 3 4 5 6 7 8 9 ··· 2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