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공학21 문제 정의 Doing The Right Thing 지난 포스팅에서 가장 중요한 말이다. 인공지능을 통해 문제를 Perfermence measure(성능 측정치)가 최대가 되게 끔 푸는 것을 찾는 것이다. 그렇다면 우리는 문제를 어떻게 정해야하고 어떻게 풀어야할까? Problem SolvingHow to achieve the goal state through the complex state space form the initial state? 시작 상태에서 복잡한 상태들을 거쳐 목표로 가는 방법이 Problem Solving의 정의이다. 문제를 푸는 순서는 [ 문제 -> 모델링 -> 솔루션(알고리즘) ] 이다. 여기서 솔루션(solution)이란 answer와 다르다. answer는 그저 말그대로 답만 있는 것이고 .. 2018. 9. 14. 관계형 모델 (수학적, 키)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는테이블의 모임으로 구성되며 각 테이블은 고유한 이름을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테이블의 각 행은 일련의 값 사이의 관계(relationship)를 표현한다. 테이블은 관계들의 모임이며 릴레이션(relation)이라는 수학적인 개념과 밀접하다. 수학적 의미로 투플(tuple)은 간단한 값의 나열 혹은 값의 리스트를 의미한다. n개의 값에 관한 관계는, 수학적으로 n-투플로 표현된다. 즉, n개의 값을 가진 하나의 투플이 테이블에서 하나의 행이 된다. 릴레이션 인스턴스는 행들의 특정 집합을 포함하고 있는 릴레이션의 특정 인스턴스를 지칭한다. relation = table, tuple = row, attribute = column 릴레이션의 각 속성은 도메인이락도 하는 허가된 값의 집합을 .. 2018. 9. 13. DB의 시스템 구조 및 사용자, 역사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은 여러 모듈로 구성된다. 기능적인 관점에서 봤을 때, 크게 두 부분으로 나뉜다. 저장장치 관리자(storage manager) 데이터베이스는 본질적으로 대량의 기억 공간을 필요로 하므로 저장장치 관리자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 최근에는 TB 혹은 그 이상의 데이터들을 저장해야하기 때문이다. 디스크 I/O는 CPU 속도에 비해 매우 느리기 때문에 디스크와 메인 메모리 사이의 데이터 이동이 최소화되도록 데이터를 구조화한다. 다양한 DML 문을 하위 단계의 파일 시스템으로 변환한다. DB 내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검색하며, 갱신하는 책임이 있다. 또한 물리적 시스템 구현의 일부로서, 저장 장치 관리자는 데이터 파일, 데이터 사전, 색인을 구현한다. 구성 요소1. 권한과 무결성에 관한 관리자무.. 2018. 9. 13. 데이터베이스 설계단계 & 정규화 설계 단계 1. 데이터 규정 데이터베이스 설계의 초기 단계는 이용자들이 필요로 하는 데이터를 충분히 규정하는 것이다.이 단계의 결과물은 사용자의 요구 명세서(specification of user requirements)이다. 2. 개념적 설계 다음으로 설계자는 데이터 모델을 선택하고 스키마를 구성한다. 이를 개념적 설계라고 한다.이때 설계자는 물리적으로 어떻게 저장할지 보다 데이터들의 관계를 기술하는 데 초점을 맞춰야한다.관계형 모델에서의 개념적 설계는 '어떤 속성'과 테이블을 이루는 속성들을 '어떻게 그룹화 할 것인가'에 초점을 둔다.'어떤 속성'에 대한 것은 서비스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어떻게 그룹화 할 것인가'가 주된 CS의 문제이다. 3. 논리 설계 단계 상위의 개념적 스키마를 사용할 데이터베.. 2018. 9. 9. 이전 1 2 3 4 5 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