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공학/데이터베이스 설계6 데이터베이스 구성 및 언어 DBMS는 서로 관련이 있는 파일의 모임과 사용자로 하여금 이 파일들을 액세스하거나 수정하도록 하는 프로그램의 집합이다. 많은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의 경우 사용자의 대부분이 일반인들 이므로 여러 단계의 추상화를 통해 복잡한 구조를 되도록이면 감추어 이해와 편의를 도와야한다. 데이터의 추상화 1. 물리적 단계 추상화의 최하위 단계. 데이터가 실제로 어떻게 저장되는 지 기술한다.레코드는 연속된 기억 장소에 위치한 하나의 블록 단위로 기술될 수 있다. 컴파일러는 프로그래머에게 이러한 상세한 부분을 숨긴다. 2. 논리적 단계 그 다음 상위 단계. 어떤 데이터가 저장되었는지 그리고 데이터들 사이에는 어떤 관계가 있는지를 기술한다.논리적 단계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물리적 단계를 알아야하나 사용자들은 물리적 단계의 복잡.. 2018. 9. 9. [Intro] 데이터베이스 및 DBMS가 나온 이유? 데이터베이스란 무엇일까? 데이터베이스는 서로 관계있는 데이터들의 모임이다. 굉장히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데 회계, 인적 자원, 은행, 학교, 항공사 등 많은 곳에서 빼놓을 수 없다. 초기에는 사용자는 서비스 직원이나 서류를 통해서 간접적으로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했지만 최근에는 ATM을 이용하는 등 직접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하는 경우가 많아졌다. 따라서 여러 단계의 추상화를 통해 데이터베이스의 복잡한 구조를 되도록 감추어 사용자의 이해화 편의를 도와야 한다.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는 데 있어 DBMS를 사용하는 데 DBMS란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이다. DBMS의 주요 목적은 데이터베이스에 정보를 저장하고 이를 검색하기 위한 편리하고 효율적인 환경을 제공하는 데 있다.* 왼쪽은 DBMS로 관리하는 DB시스템, .. 2018. 9. 9.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