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전에는 채팅방에 초대할 수 있는 챗봇이 있었는 데...카카오톡에서 지원을 안해주어 현재는 플러스친구만 생성 가능하다.
카카오톡 플러스친구 개발 사이트를 들어가면 간단하게 챗봇을 만들 수 있지만 좀 더 복잡한! 기능들을 수행하게 끔 하고 싶으면 코드로 직접 구현하는 것이 좋다! (ex. 크롤링, DB 등)
구글링을 해보면 많은 자료들이 나오는 데 여기서는 Window 환경에서 필요한 툴과 작업들을 포스팅할 예정이다!
(윈도우도 자료 많아 지면 좋겠다 ㅜㅅㅜ)
필자는 윈도우에서 개발하기 때문에 윈도우 기준으로 설명하겠다! 파이썬 Django를 사용하는 방법을 포스팅한다.
1. 카카오톡 플러스친구 계정
2. 플러스친구 코드를 구동시킬 서버
3. 서버와 통신 할 수 있는 프로그램
카카오톡 플러스친구 계정
당연히 카카오톡 플러스친구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관리자 계정이 필요한데 카카오톡 아이디로 쉽게 만들 수 있다. 몇가지 인증 과정만 거치면 된다!
https://center-pf.kakao.com/login
플러스친구 코드를 구동시킬 서버
Django를 이용하여 플러스친구를 구현할 것이다. 따라서 웹호스팅을 할 수 있는 서버가 필요하다. 개발자 개인 컴퓨터로 해도 되지만 컴퓨터를 켜놓고 서버를 구동해놔야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웹호스팅 서비스를 이용하자! 웹호스팅 서비스 중 유로인 것도 있고 무료인 것들도 있다. 대표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것이 AWS의 ec2와 헤로쿠이다. 헤로쿠 같은 경우 1계정당 서버 1개가 무료이다. (24시간 중 16시간 구동) 하지만 우리는 AWS의 ec2를 사용할 것이다! ec2역시 프리티어로 무료를 제공해주지만 그 이상을 넘어가면 과금이 된다. 잘 체크해서 과한 과금이 되지 않게 유지하자! ( 학생의 경우 100달러가 무료 크레딧으로 제공되니 방법을 알아보고 받아서 쓰자! )
서버와 통신 할 수 있는 프로그램
본 포스팅에서는 AWS 중 우분투 기반의 서버를 사용할 것이다. 특히 AWS의 서버를 빌려 쓰는 건데 당연히 거기에 접속을 해야 하지 않겠는가? 접속하기 위해 사용할 프로그램은 2가지이다. Putty와 WinSCP이다.
Putty
푸티는 Session layer 라고 생각하면 편하다. AWS서버에 원격 접속을 할 수 있게 해주는 툴이다! 이를 통해서 리눅스의 터미널처럼 사용할 수 있다. 앞으로 사용할 명령어들은 여기에서 작성하면 된다!
WinSCP
외부 서버이기 때문에 우리가 탐색기처럼 디렉토리를 볼 수 없다. 물론 Putty를 통해서 접근이 가능하지만 UI로 보여지지 않고 불편하다. 그래서 WinSCP를 이용하여 탐색기처럼 보이게 할 것이다. WinSCP를 이용하면 쉽게 컴퓨터에서 서버로 업로드 및 다운로드가 가능하다.
'컴퓨터공학 > 인공지능'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델 정의 (0) | 2018.12.24 |
---|---|
파이썬, 아나콘다 및 텐서플로우 설치 방법 (0) | 2018.10.28 |
문제 정의 (0) | 2018.09.14 |
[Intro] 인공지능이란? (0) | 2018.09.07 |
댓글